미국의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주요 7개국 G7회의 확대를 언급한 데 대해, 미.중 갈등 심화에 따른 중국 견제 셈법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2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 주요 7개국 회의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며 러시아, 한국, 호주, 인도를 포함하는 확대회의를 9월 중 개최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VOA는 “한국 등에 좋은 기회일 수 있지만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양자택일을 압박받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VOA에 따르면, 조지W.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특별보좌관을 지낸 더글라스 팔 박사는 1일 VOA에 “대통령의 G7회의 확대 방침은 명백히 중국을 배제하고 견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팔 전 보좌관은 중국이 배제되는 이례적 상황에서 한국 대통령의 참가 표명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적어도 중국의 관점에선 한국의 대중 견제 참여로 인식하고 향후 압박 수위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팔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다시 대화 상대로 편입시키는 움직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냉전 시절 소련을 고립시키기 위한 대중 유화 조치, 이른바 키신저 모델을 거꾸로 중국에 적용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팔 전 보좌관은 러시아는 중국과의 연계를 통한 미국의 고립이 더 이득이라고 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중.러 분열 시도가 성공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한국과 러시아 대사를 지낸 알렉산더 버시바우 전 국방부 국제안보 담당 차관보는 중.러 간 분열 시도책은 러시아에 대한 면밀한 손익분석이 동반된다며, 러시아와 중국이 여전히 밀접하게 연계돼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제안은 장기 전략에 기초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최근 영국을 중심으로 대서양 국가들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상대적 소외감을 나타내기 시작했다며, 직접적인 위협인 러시아와 더불어 한국, 호주, 인도의 참여는 이 같은 위기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VOA는 이날 다른 기사에서, 미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가 미.중 관계 악화 속에서 한국이 어느 편에 설지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는 지적에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미국은 우리와 중국 중 한쪽을 택할 것을 국가들에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