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1일 북측에 제주산 귤 200톤을 선물로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 북측이 보내온 송이버섯 2톤에 대한 답례 선물이라는 것입니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서호 청와대 통일정책비서관이 귤 수송기를 함께 타고 평양으로 가 선물을 북측에 인도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북측 고위 인사들을 잘 알고 또 회담 경험이 풍부한 통일부 인사들을 일종의 ‘제주산 귤 특사’로 보냈다는 점에서 무언가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귤은 북한 주민들이 평소 맛보기 어려운 남쪽 과일이며 지금이 제철이라는 점을 고려해 선정했다”며 “대량으로 보내 되도록 많은 북한 주민들이 맛보게 하고자 하는 마음도 담았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게다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측 국무위원장이 9.19평양공동선언을 내오던 때 백두산에 함께 올라 김 위원장의 한라산 답방을 이야기한 적 있습니다. 제주산 귤이 한라산을 연상시킬 수 있기에, 이번 선물을 계기로 김 위원장의 답방 논의가 환기될 수도 있습니다.

모두가 동포애적이고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바람직한 행위입니다.

그런데 청와대의 북측 귤 선물에 대해 자유한국당은 국제사회의 흐름과 엇박자 행보라면서 대북제재에 구멍을 내기 위한 노림수라고 비판했다고 합니다. 홍준표 전 대표는 “귤상자 속에 귤만 있겠냐”고 의혹을 제기했으며, 나경원 의원은 “오늘 보낸 귤은 어떤 탱자로 변할지 우려가 앞선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남측이 귤을 북측에 보낸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제주도는 지난 1999년부터 ‘남북협력제주도민운동본부’와 공동으로 ‘북한 감귤 보내기 사업’을 실시, 2010년까지 12년 동안 총 4만 8천 톤의 귤을 평양산원, 평양육아원 등에 지원했습니다. 귤이 인도적 차원에서 어린이, 임산부 등 취약계층에게 우선 제공된 것입니다.

이에 북측에서는 보답 차원에서 2002년부터 제주도민을 초청했습니다. 직항편을 이용한 도민들의 방북 초청행사는 2007년까지 4차례에 걸쳐 이어졌습니다. 그렇다면 그간 제주산 귤은 남북화해의 전령사 역할을 톡톡히 해낸 셈입니다.

그런데 이 인도적 차원의 행사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부터 삐걱댔습니다. 이명박 정부가 ‘분배 불투명’을 이유로 감귤 보내기 사업 지원을 거부하다가 2010년 5.24조치로 중단된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들어 지난 4.27 판문점선언 이후 제주도가 곧바로 북한에 감귤 보내기 운동을 재개한다고 밝혀 주목을 끈 바 있습니다. 그만큼 제주도가 귤을 북측에 보내는 일은 그 역사성도 있고 또 의미도 작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인 제주도에서만 생산되는 귤은 이제 남측 어느 지역에서도 흔하게 접하고 또 싸게 먹을 수 있지만 북측에서는 아직 쉽게 맛볼 수 없는 과일입니다. 같은 민족끼리 그 귤을 함께 나눠 먹자는데 자유한국당 측에서 ‘대북제재 구멍’이니, ‘귤만 있겠냐’니 또 ‘탱자로 변한다’ 등등 운운하니 아연할 따름입니다.

소박한 과일 귤 갖고 너무 정치적으로 장난치지 맙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