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학 월례강좌>

‘국학과 민족주의 만나다’를 주제로 ‘2018 국학 월례강좌’가 매월 한 차례씩 열리고 있습니다. 우리사회가 민족통일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소명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학과 민족주의는 거의 백안시되고 있는 실정에서 절박한 마음들을 모아 기획된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사)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

(12강) 김동환 “홍익인간.접화군생은 지고지선의 인류애”

(11강) 강철구 “신자유주의 무너지면 민족.민족주의 가치 커질 것”

(10강) 김치관 "분단으로 단절된 동학.국학은 민족통일운동의 원천"

(9강) 정영훈, ‘통일을 위한 중심이론’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

(8강) 임영태 “과거사 청산은 ‘기억 책임 미래’”

(7강) 임찬경 “많은 시민들이 ‘고대사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

(6강) 신운용 “나철의 대종교 중광, 한국 민족주의 근대의 기원

(5강) 주요섭 ‘다시 개벽’으로 모두가 ‘진인’인 시대로

(4강) 박용규 “남북 언어 이질성, 교류만 하면 해결될 문제”

(3강) 이병한 “현대와 전통 분단체제 극복이 최대 화두”

(2강) 정수일 “진정한 민족주의자는 진정한 국제주의자”

(1강) 김동환, “국학을 세워 분단을 넘는다”
 

 

“민족중심적 세계관에 기초해 통일과제에 접근한 중도우파”

▲ 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9월 20일 서울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2018 국학 월례강좌’ 제9강 ‘국학과 정치’ 발표자로 나서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를 주제로 강연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좌우의 대립을 극복하고 통일전선과 좌우합작, 남북협상을 통한 통일국가 건설, 이런 과제를 가지고 움직여왔던, 분투해왔던 일련의 민족운동 흐름, 그게 제가 말하고자하는 통일민족주의다.”

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격동의 근현대사 속에서 “통일을 위한 중심이론”을 모색해온 대표적 인물로 조소앙(趙素昻, 1887.4.30.~1958.9.10.)과 안재홍(安在鴻, 1891.12.30~1965.3.1)을 꼽고 그들이 제기한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를 조명했다.

정영훈 교수는 지난달 20일 오후 7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 430호에서 열린 ‘2018 국학 월례강좌’ 제9강 ‘국학과 정치’ 발표자로 나서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를 주제로 강연했다.

그가 숱한 정치인과 정치이론들 중에서도 이들을 꼽은 이유는 “나름대로 세계관적 구성과 정책적 대안까지 제시했던 이론으로 발전했던 것은 신민족주의와 삼균주의가 대표적”이기 때문이라고.

특히 “그 중심이론은 자유주의나 사회주의나 외래의 이데올로기를 빌려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우리의 현실과 전통에 입각해서 그 유산 속에서 지혜와 지침을 끌어낸 기초위에서 만들어진 이론이라야만 이 땅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고 또 통일이라고 하는 민족적 과제에 제대로 접근해갈 수 있다”고 판단의 기준을 제시했다.

그는 “민족중심적 세계관에 기초해서 통일과제에 접근한 그러한 이론가들 운동가들이 중도우파”라며 “민족적 소속이 가장 의미있고 궁극적인 정체성이라고 답하는 그러한 사상가들, 그러한 입장을 전개하는 노선, 그게 민족주의다”라고 규정했다.

나아가 “공동운명성이라는 개념이 민족주의 이론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다”며 “우리는 공동운명체로 태어났다 공동운명체로 살다 죽어야 한다. 누구는 슬픈데 누구는 기쁘고, 누구는 배부른데 누구는 배고프고 그런 공동체는 공동체가 아닌 거다. 그런 관점하에 이론을 발전시킨 게 신민족주의”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민족적 공동운명체론에 입각하여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장단점이 지양.종합된 초계급적-전민적 국가모델을 제시하면서, △정치세력들이 이데올로기를 넘어 타협하고 양보하는 동포애를 발휘함으로써 합작과 통일을 이루려 하였으며, △미.소 강대국이 주도하는 진영 일방에의 종속을 거부하고 민족적 차원에서 자주노선과 국제평화주의를 견지하였다는 특징을 보이며, △민족에 고유한 사상유산 속에서 통일국가 건설을 위한 기조원리를 찾아 그에 입각하여 이론을 구성했다고 요약했다.

조소앙의 단군민족주의, 삼균주의와 홍익인간

▲ 조소앙(1887.4.30.~1958.9.10.)과 안재홍(1891.12.30~1965.3.1) 선생. [자료사진 - 통일뉴스]

정영훈 교수는 먼저 “민족중심적 세계관에 기초해서 통일전선을 이루고 통일된 민족국가로 나아가고자 한 그러한 일련의 정치적 지향과 노선을 가진 그룹들, 이 그룹들한테서 나온 여러 가지 이데올로기 중에, 정치이론 중에 가장 체계성을 가지고 내용적으로 풍부한 컨텐츠를 가진 게 조소앙”이라며 “1917년 대동단결선언과 1919년 2월 초쯤에 나온 걸로 추정되는 무오독립선언(대한독립선언) 이 두 문건을 조소앙 선생이 기초했다”고 적시했다.

정 교수는 조소앙에 대해 “본래 젊은 시절부터 국수보존론이다”며 “국학의 기본 아이디어가 국수보존론이다. 민족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그 민족의 고유적인 정체성, 이것이 살아서 유지가 돼야 한다고 본다. 고유적인 정체성은 언어, 문화, 자기 역사의식 이런 거다”라고 ‘국수(國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역사에서 박은식, 신채호, 언어에서 주시경, 종교에서 대종교를 중광한 나철 등을 예시했다.

또한 조소앙의 핵심사상으로 “우리나라의 건국정신은 삼균제도의 역사적 근거를 두었으니 선민(先民)이 명명(明命)한 바 수미균평위(首尾均平位)하면 흥방보태평(興邦保泰平)하리라 하였다. 이는 사회 각층 각계급의 지력(智力)과 권력(權力)과 부력(富力)의 향유를 균평(均平)하게 하며 국가를 진흥하며 태평(太平)을 보유(保維)하라 함이니,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이화세계(理化世界)하자는 우리민족이 지킬 바 최고공리(最高公理)다”라는 <대한민국건국강령>을 들었다.

조소앙의 ‘수미균평위 흥방보태평’ 문구는 <신지비사>에 출전을 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신지비사(神誌秘詞)>는 현재 전해지지 않고 <삼국유사>와 <고려사> ‘김위제전’에 언급돼 있을 뿐이다. 신지는 단군시대에 문자를 주관하는 관직으로 사관(史官)에 해당한다.

그는 조소앙이 단군시대에서 끌어온 삼균주의와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단군민족주의’라 명명하고 “단군의 자손이라는 의식이 보급이 되면서 신분을 뛰어넘고, 지역을 뛰어넘고, 또 중요하게 종교를 뛰어넘었다”고 평가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 5.1경기장 대중연설에서 “우리는 5천년을 함께 살고 70년을 헤어져 살았다”고 언급한 대목에 대해 “우리 모두의 정체성을 단군으로부터 시작된 어떤 존재로 규정하는 의식, 사상 관점 이게 단군민족주의”라고 평가하고, ‘백두산행’에도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그는 “삼균주의는 균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본다”며 “왜 사람들이 싸우냐? 갈등과 전쟁의 원인이 뭐냐? 불평등이 원인이다”고 짚고 “평화를 위해서, 통합을 위해서는 균등, 평등을 제1원리로 해 가지고 사회를 조직하고 국가를 조직해야 한다고 보는 거다”라고 해석했다. ‘정치, 경제, 교육 세 방면에서의 균등’을 제시했다는 것.

또한 ‘홍익인간’의 ‘홍(弘)’ 자를 ‘크다’는 사전적 뜻보다 ‘넓다’는 뜻으로 해석해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고 풀이함으로써 “홍익인간을 평등으로 봤다”고 제시했다. 건국이념, “국가공동체를 무엇을 위해 운영할 거냐에 대한 규정을 담고있는 명제”를 바로 홍익인간, 평등으로 봤다는 것.

나아가 그는 “굳이 정치, 경제, 교육의 세 방면에서 균등해야 할 근거가 고유의 건국정신, 고유의 사상 속에 있어야 된다”며 “제 추측으로는 대종교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고 논지를 폈다. 대종교의 삼일신(三一神) 사상은 조화주, 치화주, 교화주가 한 하느님이라는 고유사상이라는 것.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우리 고유의 정치철학서 끄집어내”

▲ 정영훈 교수는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를 우리 고유의 정치철학에 바탕한 통일민족주의로 자리매김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정영훈 교수는 “안재홍은 고유의 정치철학으로부터 자기의 신민족주의를 끄집어냈다”며 “우리의 고유한 셈말 하나 둘, 셋... 이 고유의 셈말이 확대돼 가는 과정이 고대 한국인들의 세계관이 확자돼 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정치적 식견이 확장되는 과정을 반영한다”고 소개했다.

“맨 먼저 생각한 것이 하늘” 하나이고, “그 다음에 고대인들의 눈에 들어온 것”이 땅이고 들, 둘이다. 하늘과 땅 사이의 존재 씨앗이, 셋이다. 씨앗은 싹이 나야하고 나엇(출생), 넷이고, 다섯의 어원인 ‘다사리’에서 ‘다사리 사상’이 나왔다. 다사리는 다 같이 살리는 것으로 ‘홍익인간.접화군생.재세이화’ 이념으로 표현되었고, 화백제도나 제가평의회 같은 고대제도 속에 구현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는 “‘다사리’이념은 국민주권의 민주정치와 함께, 특정계급이나 개인의 독재나 독점을 거부하고 구성원 모두가 평등하게 자유와 복지를 누리는 사회상을 지향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참 기발하다. 천재라고 본다”며 “우리 고유한 정치철학의 이론에 입각해 가지고 만들어낸 이론이 신민족주의 이론이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좀더 객관적으로 타당성을 갖는 이론이 되기 위해서는 고대어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해야 한다”며 “이분이 아까운 건, 납북이 돼서 학문 사상이 좀더 발전될 시간 기회를 상실한 것”이라고 미진함과 아쉬움을 지적했다.

그는 “왜 새로운 민족주의냐”고 반문하고 “그 이전의 민족주의는 평등이니, 이론적으로 좀 덜 성숙한 민족주의였지만 자기가 전개한 이론이 통일과 평화를 위한 제대로 된 민족주의 이론으로 자처했기 때문에 신민족주의라고 자기의 정치이론에 대해서 설명했다”고 밝혔다.

안재홍은 대표적 논문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에서 “진리는 영원히 묵었고 또 새롭다. 오인은 이제 새로운 사회과학의 칼로 고조선의 문화의 진망(陳莽)을 헤치고 구원한 생명을 담고있는 선민창생의 생활철학을 뒤져내어 새시대 창건의 지침으로 삼고자 한다.”, “(신민족주의는) 고대이래의 조국고유 민족자발의 민족주의.국민주의.민주주의의 제이념과 꼭 합치... 다만 그것을 현대적 의의에 발전시킨 것”이라고 선언했다.

안재홍은 위당 정인보와 함께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교열 간행하는가 하면, <조선통사>를 저술하고 조선학운동의 과제로 “민족으로 세계에, 세계로 민족에, 교호되고 조합되는 민족적 국제주의―국제적 민족주의를 형성”하자는 자신의 호인 민세에서 명명한 ‘민세주의’(民世主義)를 제창했다.

그는 “1945년 9월에 조직된 국민당의 기본 이데올로기가, 지도이론이 바로 신민족주의”라며 “안재홍 선생이 만든 국민당은 정권을 잡기위한 목적으로 세운당이 아니고 국민을 계몽하고, 정치교양을 도모하기 위해서. 그리고 민족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만든 당”이라고 말했다.

그는 “안재홍이 조선정치철학에서 강조하는 또하나의 지점은 개합회통론이었다”며 “신민족주의가 추구하는 초당파적 타협.합작노선과 조선의 객관적 사회정세에 맞는 주체적이고 점진적인 해결자세를 옹호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냉전체제의 심화 과정에서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역시 설 자리를 잃었고, 한국전쟁 시기 납북됨으로써 분단 속에 망각된 인물이 되고 말았다.

“남북 어디에서도 통일민족주의는 환영받지 못했다”

▲ 정영훈 교수는 최근 남북관계 개선 등을 예시하며 “통일민족주의는 다시 복권의 길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냉전체제가 한반도에 자리잡으면서... 그 과정에 통일을 주창했던 통일민족주의는 해체돼 버렸다”며 “남쪽과 북쪽 어디에서도 통일민족주의는 환영받지 못했다. 가장 큰 피해자가 됐다”고 진단했다. 한국전쟁 당시 중도파 민족주의자들이 많이 납북됐고, 대종교인들이 많았다는 것.

특히 “통일민족주의가 박해받고 퇴장당했을 때 이분들이 주창했던, 이분들이 찾아냈던 고유의 철학과 사상, 지혜들 역시 같이 구축된 거다”며 “국가보다 민족이 중요하다. 실제로 한국민족주의의 전통은 민족이 먼저”라고 ‘민족’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9월 평양선언도 하고 한반도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우리 내부의 냉전체제를 몰아내고 냉전에 억압됐던 여러 가지가 다시 복권되는 그런 국면으로 아마 전개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특히 통일민족주의는 다시 복권의 길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통일민족주의와 중요하게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국학연구 성과들과 또 아직 연구되지 않은 어떤 것들이 관심의 대상이 돼야 되지 않겠느냐”며 “그 안에 어떤 지혜를 찾을 수가 있고, 또 우리의 남과 북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도 여러 다른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공통의 정체성의 씨앗과 공통분모들이 찾아질 수 있을 게 아닌가”라는 바람을 전했다.

국학연구소와 21세기민족주의포럼이 주최하고 <통일뉴스>가 후원하는 ‘2018 국학 월례강좌’ 10강은 ‘동학 국학과 민족통일’을 주제로 오는 18일 오후 7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 430호에서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