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님들의 염불 속에 일본 국평사에 모셔져 있던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 33구가 안치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오늘 33구가 먼저 길을 열어주셨다. 어머니 품으로 돌아오게 돼 감사하다. 이것이 앞으로 영원히 계속돼 모든 우리 일본 땅에 있는 우리 유골이 고국으로 돌아가길 바란다.”

일본 도쿄 국평사 주지인 윤벽암 스님은 ‘일제강제징용희생자 유해봉환위원회’가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15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세종대왕동상 앞에서 주최한 ‘일제강제징용희생자 유해봉환 국민추모제’에 참석 이같이 말했다.

이날 추모제는 일본 국평사에 모셔져 있던 강제징용 희생자 무연고 유골 가운데 신원이 파악된 101위 중 33위를 먼저 모셔와 봉환하는 특별한 행사로 진행됐다. 하늘은 구멍이라도 뚫린 듯 세찬 비를 쏟아냈다.

▲ 지난해 7월 일본 도쿄에서 윤벽암 스님과 윤승길 사무총장이 합의서를 작성해 보이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앞서, 윤벽암 스님과 윤승길 유해봉환위원회 사무총장은 지난해 7월 4일 “고혼이 되어 있는 100여 만에 이르는 조선인 유해를 발굴하여 고국으로 봉환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하고 ‘합의서’를 작성, 국평사에 모셔진 유해를 먼저 봉환해 비무장지대(DMZ)에 모시기로 뜻을 모은 바 있다. [관련 기사]

윤벽암 스님은 “지금까지 북측, 남측 출신이라든지 여러 가지로 복잡한 문제가, 분단의 비극이 있어서 (봉환하지) 못했다”며 “남-북-해외 셋이 합치자고 33위로 결정했다. 통일의 숫자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해봉환위원회 사무총장을 맡아 실무를 총괄한 윤승길 8.15광복절민족공동행사준비위원회 사무총장은 “일본에 현재 50만구 이상으로 추정되고 사이판과 사할린 등까지 100여만으로 추산된다”며 “일본 정부가 자료를 내놓지 않기 때문에 봉환위원회가 조사를 적극적으로 하려 한다”고 말했다.

▲ 유해봉환 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무원 스님과 윤벽암 스님이 먼저 분향, 헌화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앞줄 왼쪽부터 유해봉환위 위원장 무원 스님, 국평사 주지 윤벽암 스님, 유해봉환추진위 대표회장 김영주 NCCK 총무 모습.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또한 “그동안 개별적으로 모셔온 데는 많지만 봉환위원회가 북측에 제안해서 공식적으로 봉환한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앞으로 가급적 남북이 공동으로 분단의 현장인 DMZ(비무장지대) 쪽에 평화적인 통일묘원을 만들어 분단의 현장이 평화의 무대가 되도록 하려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에 봉환된 33위의 유해는 17일 경기도 파주 소재 서울시립장묘원 승화원에 안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해봉환위원회 대표회장을 맡고 있는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는 대회사에서 33위의 이름을 한분한분 호명한 뒤 “슬픕니다. 안타깝습니다. 애통합니다”라고 심경을 토로하고 “오늘 오신 서른 세분의 유해는 그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 33구의 유해를 위패를 앞세워 모시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국평사에 모셔진 신원이 확인된 101위 중 33위가 먼저 안치된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유해봉환위원장을 맡고 있는 무원 스님은 국민선언문을 발표, “일본 도쿄 국평사에 모셔진 강제징용 희생자 무연고 유골 가운데 신원이 파악된 101위 중 먼저 33위를 봉환하기로 합의하고 72년 만에 첫 환국을 이루었다”고 의미를 부여하고 “유해봉환 추진 사업에 남북 당국이 함께 힘을 모을 수 있도록 이끌어내고 일본 정부에도 유해봉환을 위한 실절적인 협조를 촉구하자”고 호소했다.

도천수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 상임공동대표는 북측 단군민족통일협의회(단통협)에서 보내온 연대사를 낭독했으며, 북측 단통협은 “남측의 민족종교, 민족운동단체들이 민족의 평화번영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찬구 민족종교협의회 기획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국민추모제는 각계 대표들의 헌화에 이어 7대 종단의 종교별 추모의식이 진행됐고, 진혼무와 진혼곡 등 다양한 추모공연도 진행됐으며, ‘제72주년 8.15광복절 민족공동행사 기념식’이 이어졌다.

▲ 윤벽암 스님과 윤승길 사무총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