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나라가 도발과 전쟁 부추기기보다 자제심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가 5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북한에 대한 군사력 사용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 류제이 유엔 주재 중국대사가 이같이 받아쳤다고 미국 <ABC방송>이 보도했다. 

류 대사는 이어 4일 ‘중.러 외교부 연합 성명’을 통해 제안한 한반도 문제 해법을 반복했다. 먼저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 실험을 중단하고, 이에 상응해 한.미가 대규모 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구상이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합리적이고 실행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헤일리 미 대사가 △북한의 주요 경화 획득원 차단, △북한 주변 해상과 공중 차단, △북 지도부의 인권 유린 책임 추궁 등을 안보리 결의에 담자고 요구한데 대해, 블라디미르 사프론코프 유엔 주재 러시아 차석대사는 “경제적으로 북한의 목줄을 조르는 시도는 수백만 주민에게 커다란 인도적 재앙을 초래하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중국과 러시아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한국 배치에 반대한다고 치고 나갔다. 류제이 대사는 “동북아시아 내 사드 배치는 중국을 포함한 지역 내 국가의 전략 안전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말했다. 샤프론코프 대사도 비슷한 입장을 밝혔다. 

<ABC방송>에 따르면, 헤일리 대사는 “그들은 과거 우리가 말한 것을 듣지 않았고 지금도 우리 말을 듣지 않고 있다”면서 “지금은 우리가 함께 가야 할 때이고 우리는 이같은 행동을 더 참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헤일리 대사는 “그곳에 앉아서 새로운 제재결의에 반대한다면, 당신들이 김정은의 손을 잡고 있다는 뜻”이라고 비난했다. 북한과 거래하는 나라들이 미국과 무역 거래를 지속하려 한다며 “그렇게는 안될 것”이라고 했다.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들을 상대로 미 국내법에 따른 ‘2차 제재’를 시사한 것이다. 

한편, 중국은 미국이 요구한 ‘대북 원유 공급 중단’ 수용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 3월, 중국은 북한의 6자회담 참가를 압박하기 위해 ‘송유관을 수리한다’며 일시적으로 원유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도 이 방안에 찬성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