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 상무부 홈페이지 캡쳐.

중국 정부가 19일부터 올해 말까지 북한산 석탄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트럼프 미 행정부가 지난 12일 북한의 ‘북극성-2’형 발사 관련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요구한 데 호응한 것이다. 민감한 시기에 ‘도발’을 감행한 북한에 대한 불만과 ‘김정남 피살사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8일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세관)는 ‘2017년 제12호 공고’를 통해, 유엔 안보리 결의 2321호 이행을 위해 중국 대외무역법과 상무부.해관의 2016년 제81호 공고에 근거해 북한산 석탄 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간은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라고 못박았다.

북한의 5차 핵실험(9.9)에 대응해 유엔 안보리가 지난해 11월 30일 채택한 대북 결의 2321호는 연간 북한의 석탄 수출량을 4억 90만 달러 또는 750만톤 중 낮은 쪽으로 제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앞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왕이 외교부장을 만나 “중국이 가용한 모든 수단을 써서 안정을 해치는 북한의 행위를 진정시키라”고 요구했다. 17일 밤에는 ‘김정남 피살사건’ 관련해 북한 국적자가 처음으로 말레이시아 경찰에 체포됐다. 

17일(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 연설 계기에 ‘한반도 정세’ 관련 질문을 받은 왕이 부장은 “이 문제에서 미국과 조선(북한) 양측이 가장 직접 당사자로서 가능한 빨리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공을 넘겼다. 중국은 역할은 ‘중재’라고 선을 그었다.

왕이 부장은 이날 대화와 대결을 오간 지난 10여년 북한 핵문제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대화와 협상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설파했다.

2003년에서 2009년까지는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협상이 지속되면서 북한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관리 통제되고 한반도 정세는 전체적으로 안정을 유지했다. 그러나, 2009년 이후 6자회담이 완전 중단되고 북한 핵문제는 점차 대결의 길로 접어들어 ‘핵실험-제재-핵실험-제재’의 악순환이 나타났다. 

그는 “이러한 상황이 더 지속되어서는 안된다!”라고 호소했다. 
 
왕 부장은 “중국은 여전히 회담 복귀의 기회가 있으며, 평화의 희망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중국은 2270호와 2321호를 비롯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엄격하게 집행할 것이나 “동시에 회담 복귀 노력을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대체, 13:09)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