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정문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의 수해지원을 위한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북한 수해지원을 위한 정부의 결단을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통일협회,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원불교인권위원회를 비롯한 19개 시민사회단체들은 26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북한 수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민간의 지원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아직 북한의 공식적인 요청이 없었다고는 하나, 어려움을 겪는 상대에게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 인지상정”이라며, “나아가 이번 지원을 남북 간 신뢰회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미 민간단체들이 수해지원을 위한 행동을 시작했고 많은 국민들이 동참하고 있”는 만큼, “우리 국민들의 따뜻한 마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민간단체의 수해지원을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시민사회단체들은 “북한 주민이 겪은 엄청난 재난을 모른 척 할 수 없다”며, “이번 피해가 빠르게 복구될 수 있도록 국민들의 정성과 마음을 모아 전달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 왼쪽부터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 안김정애 평화여성회 대표, 정진우 교회협 인권센터 소장, 조성우 겨레하나 이사장.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창복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이날 여는 발언에서 “대북제재와 수해복구는 다른 차원이므로 정부는 조속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지시를 내려달라”며, “이러한 일들이 남북관계에서 서로 신뢰를 회복하고 남북대화를 성사시켜서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북한이 어려울 때 돕는 넉넉한 마음이 서로 신뢰를 키우고 평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며, “적극적으로 모금사업이 진행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은 “지금이 북한을 지원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좋은 시기”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국제사회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며, “지금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북한 주민을 도와주지 않으면서 인권을 말할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1984년 전두환 군사정권은 아웅산 테러를 겪은 이후인데도 불구하고 북한 측의 수해지원 요구를 받아들여 변화의 물꼬를 텄고 이듬해인 1985년에는 북한의 허담 조평통 위원장을 불러들여서 남북정상회담을 논의할 정도로 유연성을 보인 바 있다”며, 우회적으로 정부의 결단을 요구했다.

안김정애 평화여성회 대표는 “대북 인도지원은 정부가 나서서 하지는 못하더라도 민간이 하겠다는 것까지 막아서는 안된다”며, “여성계에서는 혹독한 겨울을 나기 위해 북한 여성들을 위해 내복과 기타 물품을 지원하기 위해 움직이려고 한다”고 전했다.

정진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소장은 “북한 수해를 돕는 일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문제가 아니다. 절체절명의 생명의 위기 앞에 높여있는 이들을 외면하는 것은 그것 자체로 죄악”이라고 호소했다.

또 “한시가 급한 만큼 정부가 한 번 더 생각해서 결단을 내려주길 바란다. 그렇지 않다면 민족의 엄중한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우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이사장은 전날 별세한 백남기 농민이 평소 통일쌀 보내기 운동에 앞장섰던 분이었던 만큼 북녘 수해 지원을 위한 이날의 기자회견도 고인이 바라는 일이라고 생각해서 강행하게 됐다며, 기자회견문을 낭독했다.

▲ 기자회견을 마치고 난 후 북한 수해지원은 인도주의 실현, 남북대화 재개, 화해.평화, 통일로 발전하는 남북 신뢰의 토대를 쌓는 일이라는 의미의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이번 북한 함경북도 지역의 홍수피해는 실종자가 500명이 넘고 이재민만 14만명이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이며, 유엔을 통해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한 북한에 대해 세계보건기구가 이미 17만5천달러를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의 긴급구호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민간단체들의 지원까지 불허하겠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동안 정부는 대북제재에서 인도적 지원은 예외임을 강조해 왔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모름지기 전쟁중에도 인도적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 하물며 같은 민족의 어려움을 돕는데 그 어떤 정치적인 이해득실을 앞세워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수정-14: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