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창준 연구위원이 19일 오후 서울 대방동 진보정책연구원 회의실에서 '21세기 진보적 통일론 정립을 위한 제언'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현재 중도진영이 갖고 있는 통일론의 제약성을 극복한다면 이것이 곧 우리 민족의 통일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장창준 통합진보당 진보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오후 서울 대방동 연구원 회의실에서 '21세기 진보적 통일론 정립을 위한 제언' 발표를 통해, '통일대박론'으로 대표되는 '보수'의 통일담론화가 세차게 펼쳐지는 상황에서 "중도와 진보는 다시 하나의 통일론을 가져야 할 시기가 왔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장 위원이 말하는 중도진영의 통일론(이하 '중도통일론')에는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의 '시민참여형 통일론', 이승환 6.15남측위 정책위원장의 '민(民)주도 통일론', 지난 2월 <한겨레신문>의 '통일대박론을 넘자' 시리즈 등이 포함된다.

△고 문익환 목사의 통일사상을 계승해 '민 주도'와 '점진성에 기초한 한반도 통일과정'을 주창하고, △남북 정권의 분견대 역할을 거부하는 것은 물론이고 변혁운동 진영의 '혁명주의적 통일론'과도 선을 긋는 '제3의 길'을 모색하며, △6.15공동선언 제2항의 남북연합을 통일의 한 형태로 규정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장 위원은 '중도통일론' 내에 세 가지 제약성이 있다고 밝혔다.

첫째, 민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반면, 당국의 역할을 '정권 독점성'으로 환원시켰다. 장 위원은 "그동안 (남북)당국 차원의 역할이 소극적이었거나 혹은 부정적인 측면이 많았으나 이같은 평가가 당국의 역할 자체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져서는 안된다"고 봤다.

둘째, 통일운동이 갖는 투쟁성을 간과하고 있다. 이승환 위원장 등이 민화협과 같은 '민관협치기구' 틀 내에서 통일운동을 전개하면서 빚어진 결과다. 장 위원은 "민의 통일운동을 가로막는 관의 행태에 대해서 지나치게 타협주의적 노선을 주장하는 것은 '민주도 통일론'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셋째, 자주의식의 부족이다. 장 위원은 "아마도 자주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어왔던 '혁명주의적 통일운동'에 대한 반성으로 '민주도 통일론'을 모색하다보니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통일론은 어떤 식으로든 한미동맹, 주한미군 문제 등을 피해갈 수 없는 게 엄연한 현실이라는 것이다.

장 위원은 다만 이같은 문제제기는 각을 세우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중도와 진보가 하나의 통일론으로 하루 빨리 수렴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깔고 있다고 밝혔다. "그런 작업을 위해 진보가 먼저 유연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이라며 특히 "자주의 문제를 갖고 중도와 진보가 싸울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대신 '민족대단결 원칙'은 더욱 확고히 고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평화'는 통일 과정을 넘어 "평화국가를 지향하는 통일원칙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나아가 '연합연방제'로서 'COREA민족연합공화국 통일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중도와 진보가 화해하는 데서 문익환 목사의 통일 업적과 통일 사상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봤다.

1989년 방북 당시 문 목사는 허담 북 조평통 위원장과 '4.2 합의'를 발표했다. △7.4공동성명의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에 기초한 통일문제 해결, △정치군사회담과 다방면에 걸친 교류와 협력 동시 추진, △점진적 방식의 연방제 통일 가능성, △범민족대회 개최 등을 담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