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부가 1953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3.1운동, 일본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가 처음 발견됐다.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 강제징용자 세부명부도 처음 발견돼, 일제 강점기 피해배상 문제가 새롭게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한 '3.1운동시 피살자 명부'(1권 630명), '일본 진재시 피살자 명부'(1권 290명), '일정시 피징용자 명부'(65권 22만9천781명) 등을 처음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기록물은 일본 도쿄에 있는 주일한국대사관이 최근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으로, 국가기록원에 이관됐다.

이들 명부에 대해 국가기록원은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라며 "1952년 2월 제1차 한일회담 결렬 후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1952년 12월 제109회 국무회의록에는 '대통령 유시(諭示)사항'으로 '기미년 살상자 수, 일본 관동 진재 희생자, 제2차 대전시 징용자 및 징병자 중 사상자 수, 왜정하 애국사상운동자로서 옥사자수 등을 조사집계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번에 공개된 '3.1운동 피살자 명부'는 총 1권 217매로 지역별로 총 630명에 대해 읍.면 단위로 성명, 나이, 주소, 순국일시, 순국장소, 순국상황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 동안 정부는 3.1운동시 순국한 분 중 공식적으로 독립유공자 391명을 인정했으며, 이번에 명부가 발견됨에 따라 추가 서훈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은 "이 명부는 그 동안 국내외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피살자 명부"라고 설명했다.

'일본진재시피살자명부'는 1923년 9월 1일에 발생한 일본 관동(간토) 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로 1권 109매, 총 290명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피살자는 적게는 6천명, 많게는 2만여명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 명단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23년 11월 28일자 독립신문은 6천661명으로 보도했으며, 재일사학자 강덕상 교수는 9천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독일 자료에는 2만여명으로 언급되어있다.

해당 명부에는 당시 희생자 이름과 본적, 나이, 피살일시, 피살장소, 피살상황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사망원인에 대해 '지진으로 사망', '경찰서 유치장 등에서 순국' 등으로 명기되어 있고, 학살방식도 '피살', '타살', '총살'등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정시 피징용자 명부'는 총 65권 22만9천781명이 기록, 가장 오래된 원본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정부는 1957년 노동청이 작성한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를 근거로 일제시대 강제징용자를 16만명으로 공식 인정했다.

하지만 해당 자료는 생년월일과 주소 등이 기록되어 있지 않았던 반면, 이번에 발견된 명부는 생년월일, 주소, 사망여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공식 강제징용 숫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한국정부가 1965년 한.일협정 당시 배상청구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들이어서 한.일간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록물에 대해 박순걸 충북대 교수는 "3.1운동과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명부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최초의 기록"이라며 "학술연구는 물론 과거사 증빙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발견된 기록물을 개인 명부별로 세부사항을 정리, 2014년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